AWS

AWS RDS 데이터베이스 배포 전략

heesoohi 2025. 3. 9. 15:51

RDS 데이터베이스를 배포하는 아키텍처의 종류는 다양하고, 이 중 적합한 것을 선택해 배포하면 된다. 

 

 

1. RDS 읽기 전용 복제본(Read Replica)

 

RDS 배포 중 읽기 전용 복제본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메인 RDS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기 작업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예로 들어 보자. 

이 경우 더 많은 애플리케이션이 RDS로부터 더 많은 데이터를 읽어 들이게 될 것이다. 

-> 따라서 읽기 워크로드를 확장해야 한다. 

 

 

 

읽기 워크로드를 확장하는 방법으로 '읽기 전용 복제본 생성'을 선택하는 것이다. 

RDS 데이터베이스의 복사본과 복제본이 생성되면서, 이들로 부터 읽기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것!

읽기 권한을 여러 RDS 데이터베이스에 분산시킨다고도 볼 수 있다. 

 

- 최대 5개의 읽기 전용 복제본(Read Replica) 생성 가능. 

 

 

 

2. 다중 가용 영역(Multi-AZ)

 

다중 가용 영역을 사용해서 RDS를 배포하는 방식은, AZ 운영 정지 같은 장애 조치가 발생했을 때 유용하다. 가용 영역에서 충돌이 발생했을 때, 높은 가용성을 보장해주는 방식이다. 

 

 

위의 이미지처럼 애플리케이션이 동일한 메인 RDS 데이터베이스에서 읽기 작업과 쓰기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가용 영역을 넘나드는 복제본을 다른 가용 영역에 설정할 수 있다. 이 복제본은 장애 조치 데이터베이스가 된고, 다른 가용 영역에 존재하기 떄문에 '다중 가용영역'이라고 불리는 것!

 

AZ 상에 문제/오류가 발생하는 등.. 어떠한 이유로 메인 RDS 데이터베이스가 충돌하면 RDS에서 장애 조치가 트리거 되고, 애플리케이션은 다른 가용 영역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장애조치를 실시할 수 있다. 

 

다중 가용 영역 방식으로 RDS를 배포한 경우에는 데이터를 읽고 쓰는 작업은 기본적으로 메인 데이터베이스에서 진행되고, 장애 조치 DB는 수동적 DB로 존재하며,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문제가 터지기 전까지는 액세스할 수 없는 상태로 남아있다.

 

추가로 기억할 점은 단 하나의 가용 영역만 장애조치 가용 영역으로 설정된다는 점!

 

 

 

3. 다중 리전(Multi-Region)

 

다중 리전 방식의 경우에도 읽기 전용 복제본을 다루는데, 이 경우에는 한 리전이 아니라 여러 리전에 걸친 읽기 전용 복제본을 만든다. 

 

 

위 이미지처럼 us-east-2 리전에 있는 애플리케이션은 읽기 전용 복제본을 통해 로컬에서 RDS를 읽을 수 있고, 쓰기 작업은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수행해야 하므로 리전 간 쓰기 작업을 수행한다. ap-southeast-2에서도 마찬가지!

 

정리해보자면..

- 읽기전용 복제본을 가진 리전에서는 복제본을 통해 읽기 작업 수행 가능

- 데이터 쓰기 작업은 리전을 넘어 '메인 RDS'에서만 가능

 

쓰기 작업을 위해서 어차피 리전을 넘어야 한다면 뭐하러 굳이 다중리전 방식을 채택하나 싶겠지만, 다중 리전 배포에는 아래와 같은 이점들이 있다. 

 

  • 한 리전에 문제가 생겼을 때 재해 복구 전략이 될 수 있음. 
    - 다른 리전에 백업이 존재하기 때문!
    - 다만 리전 간 데이터를 복제할 때에, 네트워크를 통해 복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비용이 발생한다. 
  • 서로 다른 리전에 있는 애플리케이션도 로컬 데이터베이스에서 읽기 작업을 수행하여, 지연 시간이 짧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