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글로벌 앱 설계 - 리전과 AZ 활용 전략

heesoohi 2025. 4. 10. 11:34

# 글로벌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1. 하나의 리전, 하나의 가용영역

 

 

하나의 리전에 하나의 AZ에 EC2 인스턴스가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가용성이 높지 않을 것이고, 글로벌 지연 시간 또한 좋지 않을 것이다. 해당 리전에 장애가 발생한다거나, 멀리 떨어진 사용자가 접근할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설정 난이도는 매우 쉬운 수준인 아키텍처이다. 

 

 

 

2. 하나의 리전에 여러 가용영역

 

 

 

위 사진처럼 하나의 리전에 2개의 가용영역이 있을 때, 고가용성을 가진다. 

 

그러나 여전히 한 리전에만 존재하기 때문에 글로벌 지연 시간은 개선되지 않는다. 

 

 

3. 액티브-패시브 다중 리전

 

 

 

액티브-패시브는 각각 액티브 리전과 패시브 리전이 있다는 걸 의미한다. 또 각 리전은 하나 이상의 가용영역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 액티브된 리전의 EC2 인스턴스에는 사용자가 얼마든지 읽고 쓰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액티브 리전과 패시브 리전 간에는 데이터 복제가 일어난다. 사용자는 패시브 리전에서 읽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지만, 쓰기 작업을 불가하다. 

 

액티브-패시브 아키텍처의 경우, 전세계에 많은 리전을 가질 수 있고, 패시브 리전을 통해 읽기 지연 시간을 개선할 수 있다. 전 세계에 데이터를 복제한 덕분이다. 그러나 쓰기 작업은 여전히 중앙 리전으로만 가능하기 때문에, 글로벌 수준에서 쓰기는 여전히 높은 지연 시간을 가진다. 

 

또한 여러 리전을 가지게 되어 설정 난이도가 단일 리전에 비해 어려워지게 될 것이다. 

 

 

 

4. 액티브-액티브 다중리전

 

 

 

액티브-액티브 아키텍처에서는 모든 리전이 액티브되어 있어, 모든 리전에서 읽기 및 쓰기 작업이 가능하다. 인스턴스간에 데이터 복제가 일어나 읽기 지연 시간을 개선할 수 있고, 글로벌 수준의 쓰기 지연 시간도 마찬가지로 줄어든다. 

 

다만 애플리케이션이 모든 리전에서 모든 동작을 하기 때문에 설정 난이도는 가장 어려워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