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ENI(Elastic Network Interface) 개념 정리와 활용 사례
heesoohi
2025. 6. 14. 01:20
1. ENI란?
ENI(Elastic Network Interface) 는 AWS EC2 인스턴스가 VPC 내에서 통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가상의 네트워크 장치로, 쉽게 말해 로컬 컴퓨터의 랜카드나 인터넷 포트와 같은 역할을 한다.
2. ENI 구성 요소
ENI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로 구성된다.
- 프라이빗 IPv4 주소 (필수, 하나 이상)
- 퍼블릭 IPv4 주소 (선택)
- 하나 이상의 보조 IPv4 주소
- 하나 이상의 보안 그룹
- MAC 주소
- 서브넷
- 트래픽 미러링 구성 (옵션)
- 소스/대상 확인 설정
3. 기본 ENI와 보조 ENI 비교
기본 ENI | 보조 ENI | |
생성 시점 | EC2 생성 시 자동 생성 | 사용자가 수동으로 생성 |
인터페이스 이름 | 일반적으로 eth0 | eth1, eth2 등 |
분리 가능 여부 | ❌ 인스턴스에 고정됨 | ✅ 다른 인스턴스로 분리/이동 가능 |
사용 목적 | 일반적인 네트워크 통신 | 고정 IP 유지, 이중 네트워크 구성 등 |
기본 ENI는 EC2 인스턴스와 강하게 연결되어 있고 해당 인스턴스가 종료되면 함께 사라진다. 반면, 보조 ENI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인스턴스 간에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4. ENI의 주요 특징
- IP 주소 고정: ENI에 부여된 프라이빗 IP 주소는 인스턴스를 변경하더라도 유지된다.
- 이동성: ENI는 하나의 인스턴스에서 다른 인스턴스로 실시간 이동이 가능하다.
- 고가용성 구성: 인스턴스가 중단되더라도 ENI를 새 인스턴스에 연결하면 서비스 IP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5. 간단한 실전 활용 예시
스팟 인스턴스에서 내부 대시보드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 애플리케이션은 도메인 이름 → 고정된 프라이빗 IP 를 통해 접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 해당 IP는 보조 ENI에 할당되어 인스턴스에 연결된다.
- 스팟 인스턴스가 종료되면, 새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해당 ENI를 연결하면 된다.
- 이 과정에서 IP나 도메인을 변경하지 않아도 되므로, 서비스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