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Route 53과 DNS 개념 정리: 인터넷 주소 탐색과 레코드의 역할

heesoohi 2025. 4. 2. 21:02

# Route 53

 

Route 53은 관리형 DNS로, 글로벌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할 때 중요한 서비스 중 하나이다. 

 

DNS는 전화번호부와 같은, 규칙과 레코드의 모음집으로 클라이언트가 URL을 통해 올바른 서버를 찾아갈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 기본적인 레코드 유형

 

  • A record
    : www.google.com 을 IPv4 주소로 매핑

  • AAAA record
      : www.google.com 을 IPv6 주소로 매핑

  • CNAME
    :
    호스트 이름을 다른 호스트 이름과 매핑할 때
       ex) search.google.com을 www.google.com에 매핑

  • Alias(별칭 레코드)
    :
    호스트 이름을 aws 리소스에 매핑. ELB, CloudFront, S3, RDS 데이터베이스 등을 이용할 때 동작함.

 

 

🕸️ Route 53 동작 방식

 

 

위 이미지처럼 웹 브라우저와 배포한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있을 때를 살펴보자.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일반 URL을 통해 접근하고 싶다면,

 

1. Route 53으로 가서 A record를 만들고

2. 웹 브라우저가 DNS 요청을 보내고

3. DNS는 IP를 응답해준다

4. 웹 브라우저는 응답받은 IP를 이용하여 올바른 서버에 연결한다

5. 서버는 웹 브라우저로 HTTP 응답을 보내준다.

 

이것이 개략적으로 DNS가 동작하는 기본 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