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oute 53의 라우팅 정책
Route 53을 사용할 때, 라우팅 정책을 이해하고 사용 사례에 따라 알맞은 정책을 선택해야 한다.
1. 단순 라우팅 정책
단순 라우팅 정책은 상태 확인을 하지 않는다. 웹 브라우저는 DNS 시스템에 가서 DNS 검색을 하고 IPv4 등의 결과를 얻는다. (단순한 과정의 기본 정책!)
2. 가중치 기반 라우팅 정책
가중치 기반 라우팅 정책은 트래픽을 여러 인스턴스로 분산시킨다.
위 이미지처럼 인스턴스별로 70%, 20%, 10% 등 가중치를 부여하고, DNS(=Route 53)는 가중치에 따라 트래픽이 나뉘어 가도록 한다.
여러 인스턴스로 트래픽을 분산하므로, 로드밸런싱을 할 때 효율적인 방식이다. 단순 라우팅 정책과 다르게, 상태 확인을 한다는 점도 특징이다.
3. 지연 시간 라우팅 정책
위 이미지처럼 애플리케이션이 캘리포니아에 하나, 호주에 하나 존재하고, 사용자는 전세계에 분포하는 경우를 살펴보자.
지연시간 라우팅 정책을 선택하면, DNS가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미국에 가까이 있는 사용자는 미국 캘리포니아의 서버와 통신하도록 리디렉션하고, 사용자가 호주와 가깝다면 호주 서버와 통신하도록 리디렉션한다.
➡️ Route 53이 사용자와 서버 사이의 거리를 가깝게 해주어, 지연 시간을 최소화한다.
4. 장애 조치 라우팅 정책
클라이언트, 기본 EC2 인스턴스, 장애 조치 인스턴스가 있다. DNS 시스템은 기본 인스턴스의 상태를 파악하고, 만일 기본 인스턴스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트래픽을 장애 조치 인스턴스로 리디렉션한다.
Route 53 덕분에 클라이언트는 인스턴스의 상태에 따라 어떤 인스턴스에 연결될지 정확하게 알 수 있으며, 장애 발생 시에 회복/복구에 유용한 정책이다. (장애 확인 = 상태 확인)
📝 정책 별로 목적을 정리해보자면,,
가중치 라우팅 정책: 트래픽을 여러 인스턴스로 분산
지연 시간 라우팅 정책: 지연 시간 최소화
장애 조치 라우팅 정책: 장애 회복 목적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빠르고 안정적인 글로벌 파일 전송, S3 Transfer Acceleration (0) | 2025.04.05 |
---|---|
AWS CloudFront - CDN과 엣지 로케이션으로 빠르고 안전한 콘텐츠 전송 (0) | 2025.04.04 |
Route 53과 DNS 개념 정리: 인터넷 주소 탐색과 레코드의 역할 (0) | 2025.04.02 |
지연 감소, 장애 복구를 위한 AWS 글로벌 애플리케이션 설계 (0) | 2025.04.01 |
AWS System Manager: 세션 관리와 데이터 보안 (0) | 2025.03.31 |